H E L L O    W O R L D !
...

총 방문자 수

...

[]

총 포스팅

DB

·DB
레디스 센티넬이란레디스 센티넬과 레디스 클러스터는 모두 레디스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두 방식은 역할과 기능이 다릅니다. 여기서 다룰 주제인 레디스 센티넬은 레디스 서버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입니다. 즉, 서버가 죽더라도 서비스가 계속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특징모니터링센티넬은 마스터와 슬레이브 레디스 인스턴스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가 다운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마스터 서버: 데이터를 읽고 쓰는 역할을 하는 주 서버슬레이브 서버: 마스터 서버의 데이터를 복제하는 서버로, 마스터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신 동작센티넬은 주기적으로 PING 명령어를 보내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고..
·DB
개요토비의 스프링과 유튜브로 실습을 해보던 중 DAO와 DTO가 나왔다. 이름도 비슷해서 무슨 차이인지 궁금해서 검색을 통해 찾아보고 정리해 봤다.DTO (Data Transfer Object)DTO (Data Transfer Object)는 주로 데이터를 여러 계층 간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레이어에서 데이터를 데이터 액세스 계층(DAO)으로 보낼 때 DTO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전송할 수 있다.DTO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설계보통 데이터의 단순 전달을 위한 필드로 구성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지 않음getter / setter 메서드만 가진 순수한 데이터 객체 클래스 (Java Beans)DAO (Data Access Object)DAO (Data ..
·DB
정의트랜잭션이란 DB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작업의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만원을 계좌이체 하는 상황을 생각해 봅시다.A계좌에서 100원을 인출한다.B계좌에 100만원을 입금한다.위와 같은 두 가지 작업을 할 것입니다. 만약 A 계좌에서 100만원을 인출하고 난 뒤 오류가 발생한다면 A는 100만원이 없어지고 B는 100만원을 못 받는 일이 생길 것입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가지 작업을 하나로 묶어서 처리하여 하나라도 실패하면 db에 반영하지 않고 모두 성공해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해야 합니다. 여기서 하나로 묶은 것이 바로 트랜잭션입니다.ACID 속성트랜잭션에는 ACID라는 4가지 속성이 있습니다.Atomicity (원자성)트랜잭션이 모두 반영되거나, 모두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DB/MySQL
MySql 명령어show databases # 데이터 베이스 목록use [db 이름] # 데이터 베이스 사용show tables # 사용중인 데이터 베이스 안에 있는 테이블 목록create table [테이블 이름]( ... ...) # 테이블 생성drop table [테이블 이름] # 테이블 제거delete from [테이블 이름] where 조건 # 조건에 맞는 행 삭제delete from [테이블 이름 # 조건이 없다면 모든 행 삭제truncate table users # users 모든 데이터 삭제되고 빈 users테이블만 남음서버 실행윈도우시작누르기맥hombrew로 설치한 경우mysql.server start // 기본 문법 mysql -u [계정] -p [데이터베이스]   // 최상위 ..
nameless1004
'DB'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