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E L L O    W O R L D !
...

0명

총 방문자 수

...

26 개

총 포스팅

DAO와 DTO

2024. 7. 13. 22:25·DB
목차
  1. 개요
  2. DTO (Data Transfer Object)
  3. DAO (Data Access Object)

개요

토비의 스프링과 유튜브로 실습을 해보던 중 DAO와 DTO가 나왔다. 이름도 비슷해서 무슨 차이인지 궁금해서 검색을 통해 찾아보고 정리해 봤다.

DTO (Data Transfer Object)

DTO (Data Transfer Object)는 주로 데이터를 여러 계층 간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레이어에서 데이터를 데이터 액세스 계층(DAO)으로 보낼 때 DTO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전송할 수 있다.

DTO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설계
  • 보통 데이터의 단순 전달을 위한 필드로 구성
  •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지 않음
  • getter / setter 메서드만 가진 순수한 데이터 객체 클래스 (Java Beans)

출처: https://hudi.blog/data-transfer-object/

DAO (Data Access Object)

DAO (Data Access Object)는 실제로 DB에 연결하는 객체이다. DAO는 서비스와 D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실제로 DB에 접근하여 CRUD 기능을 수행한다.

 
 

CRUD

CRUD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조작 작업을 나타내는 약어이다.

  • Create (생성) :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
  • Read (읽기)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작업.
  • Update (갱신) : 데이터베이스의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또는 수정하는 작업.
  • Delete (삭제) :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존 데이터를 삭제하는 작업
JPA에서는 DB에 데이터를 CRUD 하는 JpaRepository<>를 상속받는 Repository 객체들이 DAO라고 볼 수 있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에서 레디스 센티넬  (0) 2024.10.19
Transaction  (0) 2024.07.12
  1. 개요
  2. DTO (Data Transfer Object)
  3. DAO (Data Access Object)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프링에서 레디스 센티넬
  • Transaction
nameless1004
nameless1004
nameless1004
Nameless
nameless1004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4)
    • DB (4)
      • MySQL (1)
    • Web (1)
    • CS (0)
    • 알고리즘 (1)
    • JAVA (4)
      • 문법 (0)
      • 디자인 패턴 (1)
    • Spring (2)
    • 트러블 슈팅 (6)
    • 부트캠프 (37)
      • Dev (25)
      • DB (6)
      • 데일리 미션 (5)
    • 도커 (3)
    • 사이드 프로젝트 (5)
      • 쿠키톡 (5)
    • 회사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자바 싱글톤
부트캠프
인프런
자바 싱글톤 패턴
레디스 센티넬
스프링 레디스 센티넬
db
스프링 슬랙 알림
spring
DTO
singleton
dbeaver
자바
DAO
스프링 슬랙
java
레디스 센티넬 도커
인터넷강의
유데미
sql
슬랙

최근 댓글

hELLO· Designed By정상우.v4.5.3
nameless1004
DAO와 DTO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